함수
- 함수 : 입력값의 집합과 출력값의 집합간에 맺어지는 일대일 관계
- 특정값 a가 입력되었을 때 대응되는 출력은 f(a)로 쓰고, 이것을 입력 a에 대한 함숫값이라고 부른다.
- 정의역 : 함수 f : X -> Y에서 입력값이 정의된 집합 X
- 공역(공변역) : 출력값이 속하도록 되어있는 집합 Y
- 치역 : 공역 안에서 정의역에 실제로 대응되는 값, 함수값이 이루는 집합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0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- 전사함수 : 공역 = 치역 인경우, 즉 공역 내의 모든 원소가 전부 빠짐없이 대응
- 단사함수 : 치역의 원소 하나에 둘 이상의 정의역 원소가 대응되는 일이 없는 경우
- 전단사함수 : 전사이면서 단사인 경우, 일대일대응이라고 함.
- 비둘기집 원리 : 정의역보다 공역의 원소 개수가 작을 때 그 함수는 단사일 수 없다.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1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일차함수와 그래프
- 일차함수 : 종속변수 y가 독립변수 x에 대한 일차식 y = ax + b 꼴로 나타낸것
- 기울기 : 세로축 변화량 / 가로축 변화량
- 절편 : 직선이 축과 만나는 점 (x축과 만나면 x절편, y축과 만나면 y절편)
- 함수의 평행이동 : f(x)의 그래프를 가로축 방향으로 k만큼 이동한 그래프 g(x)는 f(x-k)와 같다.
- 가로축 방향으로 p만큼 이동 : x를 x-p로 대체
- 세로축 방향으로 q만큼 이동 : y값에 최종적으로 q를 더함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2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연립 방정식과 함수
- 연립방정식을 푼다는 것은 두 식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x와 y를 찾는 일
- 이것을 직선의 관점으로 본다면 직선 두개가 만나는 점의 좌표를 찾는 것과 같음.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3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- 기울기(a) : 좌표값의 차를 이용해서 기울기를 구함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4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이차함수와 그래프
- 다항함수 : 다항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함수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5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- a (2차항의 계수)가 커지면서 그래프는 더 가파르게 세로축에 가까워지는 모양이 되며 뾰족해진다.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6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- 이차함수의 평행이동
- 가로축 방향으로 p만큼 이동 : x를 x-p로 대체
- 세로축 방향으로 q만큼 이동 : y값에 최종적으로 q를 더함
이차함수 기본형과 표준형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7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이차 함수의 기본형은 꼭지점의 좌표(p,q)를 알기가 힘들기에 보통 아래의 표준형을 많이 활용한다.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8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이차함수의 기본형을 표준형으로 바꾸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.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9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표준형의 특징
평행이동의 결과이므로 그래프모양은 y=ax^2와 같다. 즉, 이차항의 계수 a가 같으면 그래프 모양은 모두 같다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10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GF6oB/btsnvqiynE4/NYCCCj2qxse0uUNNe7aVbK/img.png)
판별식(D)의 부호와 y좌표와의 관계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11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wkpW/btsnrvLuMXz/bhG57LprmD2rT5u59L3oE1/img.png)
유리함수와 무리함수
- 유리식 : 두 다항식의 분수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식
- 유리함수 : 유리식으로 표현되는 함수
- 반비례 : y = a(상수) / x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12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jhjRO/btsoe28NFwo/PsPs9KoTtVD0xDUeMj6so0/img.jpg)
- 쌍곡선 : 두 개의 초점에서 임의의 점 P까지 선을 연결했을 때 두 선의 길이의 차가 일정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곡선. 즉, 평면상의 고정된 두 정점으로부터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의 집합.
- 곡선은 x축과 y축에 가까워지는데, 축과는 만나지 않는다.
- 점근선 : x축과 y축 처럼 어떤 그래프가 한없이 가까워지는 직선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13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yST0/btsoe8g07KU/Uv8kbER2dSuf6efh9i3oJ1/img.gif)
유리함수의 평행이동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14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Fb3Ir/btsohnYlHZx/hj37UN9621MJexErezJzY1/img.png)
- 무리함수 : 근호 안에 독립변수가 포함된 무리식으로 나타나는 함수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15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Ppbtf/btsohzj4RvO/KkalgaEeSKkGJKrtamK7OK/img.png)
- 근호 안은 음수가 될 수 없기에 a가 양수일때는 x도 0이상이며, a가 음수일때는 x도 음수이다.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16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DlAXA/btsogYqYA36/w65l5yR5wXko8YN32dzLDK/img.png)
무리함수의 평행이동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17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Pk7s/btsofOPPyPR/K1XPHoYoc5spkrEDKGHhf0/img.png)
합성함수와 역함수
- 합성함수 : 한 함수의 공역이 다른 함수의 정의역과 일치하는 경우, 두 함수를 이어 하나의 함수로 만드는 연산이며 (g ∘ f)(x) (=g(f(x)) 처럼 쓴다.
- 이때 ∘기호의 오른쪽, 즉 입력값에 가까운 쪽의 함수가 먼저 대응된다.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18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hIYPR/btsoe0ceNTJ/d5agjjnSYNg9C15elOiLDk/img.jpg)
- 합성함수의 교환법칙과 결합법칙 : 교환법칙은 성립하지 않지만, 결합법칙은 성립함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19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7UtoM/btsoica7Rpr/4sCk7rekwKfrpfuTNsm1d0/img.png)
- 역함수 : 어떤 함수가 전단사함수(일대일 대응)이면 역방향의 대응관계도 여전히 함수의 조건을 충족하는데, 이것을 원래함수의 역함수라고 칭한다.
- 이때 원래 함수의 정의역이 공역으로 바뀌고, 원래의 공역은 정의역이 되며,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도 서로 역할을 바꾸게 된다.
- 하지만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값이 같아지는 점들 y = x인 직선위의 점들은 원래 자기를 지키게 되는데, 역함수를 만들때 좌표평면 위에 있던 모든 점은 이 불변하는 직선을 축으로 하여 대칭인 위치로 이동한다. 즉 어떤 함수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는 y=x에 대해 대칭이다.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20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eym6/btsoichTnq8/J0KuWp2Z7x9NYUYpklWkO1/img.webp)
- 역함수의 성질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21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942vJ/btsohXrBVHx/8sGaIUTLQopIGtKKb6Yu80/img.png)
(1) 역함수의 역함수는 자기자신이다.
(2) 어떤 함수와 그 함수의 역함수를 합성하면 자기자신, 항등함수가 나온다. -> 역함수의 경우 특별히 교환법칙이 성립된다.
(3) 합성함수의 역함수는 순서가 반대로 된다.
![[수학 리부트] 함수의 기초 22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jluic/btsofrU0V0o/Kxx2lKVKm9hKsvp2VgsW0K/img.png)
출처
- 해당 포스팅은 [수학리부트] 책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.
728x90
반응형
'Statistics & Math > 수학리부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수학 리부트] 도형의 기초 (선, 각, 삼각형) (0) | 2023.07.23 |
---|---|
[수학 리부트] 확률,통계의 기초 (0) | 2023.07.21 |
[수학 리부트] 수식의 기초 (0) | 2023.06.25 |
[수학 리부트] 숫자의 기초 (1) | 2023.06.17 |
[수학 리부트] 논리의 기초 (0) | 2023.06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