독립 확률변수 (독립성의 정의)
- 모든 x, y 값에 대하여
등식이 성립할 때,
확률변수 X, Y가 독립이라고 할 수 있다. - 이산확률변수의 경우,
(※ 연속확률변수에서는 성립하지 않음!)
평균(Average, Expected Value)
- 산술평균(전부 더해서 나누기)(unweighted average): 1, 2, 3, 4, 5, 6 →
- 가중평균(weighted average): 1,1,1,1,1,3,3,5 →
는 가중치. 가중치는 전부 더해서 1이다.
이산확률변수의 기댓값
값 * 확률질량함수- 셀수 있는 리스트에 한해 적용
베르누이 확률변수의 기댓값
- X = 사건 A가 발생한 경우 1, 그 외의 경우 0
- X를 지시확률변수로 생각해 볼 수 있다
- E(X) = P(A)
- 기댓값과 확률의 관계를 이어줌
이항확률분포의 기댓값
이항정리에 의하여
따라서 이항확률분포의 기대값은
기댓값의 선형성(linearity)
→ X, YX,Y가 서로 독립이 아닌 경우에도 성립! (c는 상수)
선형성 증명하기
- 이산확률변수이므로 확률질량함수를 사용할 수 있음
- 평균을 구하는 방법은 전부 더해서 나누는 방법과, 그룹으로 묶어서 가중평균을 구하는 방법이 있다.
조약돌의 합으로 정의할 수 있음 (전체는 부분의 합)
![[기초통계학] 기댓값 (Expected Value) 0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- 상수로 곱할 수 있음 (위 E(x)식에서 상수를 시그마 밖으로 꺼내기만 하면됨)
E(cX) = cE(X) (c는 상수)
→ 가장 극단적인 상황: X = Y 이라는 극단적인 종속 상황에서도 성립
이항확률변수의 기댓값(선형성 이용)
EX) 에이스 카드 문제
= 5⋅P(첫번째 카드가 에이스)(
가 서로 종속임에도 성립- 초기하분포의 기댓값 계산방법 ≅ 이항분포의 기댓값 계산방법
예제
- Putnam 문제:
의 어떤 순열에 대해서 극댓값의 갯수의 기댓값을 구하시오.
- 극대값이란 : 특정 부분만을 놓고 대소를 비교했을 때 가장 함숫값이 크면 극대, 가장 작으면 극소라고 하는 것이다
- 3,2,1,4,7,5,6 이라는 순열이 있을때, 7은 양옆의 4,5보다 크기에 극댓값, 3은 오른쪽의 2보다 크기에 극대값, 6은 왼쪽의 5보다 크기에 극대값
- 중간에 있는 수는 양옆의 수보다 커야하며, 양끝의 수는 왼쪽/오른쪽에 있는 수보다 커야함
- 특정 중간 위치에서, 해당 숫자가 양옆의 수보다 클 확률은
- 다만 순열의 양쪽끝은 해당사항이 없기에 2를빼준다.
- 순열의 양쪽 끝 위치에서, 해당 숫자가 옆의 수보다 클 확률은
- 끝은 2개이기에, 위 식에서 +1을 해준다
- 간단한 상황: n=2
- [[ 1 212 ]] [[ 2121 ]] → E(X)=1
- 극단적인 상황:n → ∞
- 극대값 수의 기댓값 → ∞
평균의 법칙
- 시행횟수가 증가할수록 확률오차의 절대적 크기는 증가한다.
![[기초통계학] 기댓값 (Expected Value) 1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- 시행횟수가 증가할수록 시행횟수에 대비한 확률오차의 상대적 크기는 감소함. 이게 바로 평균의 법칙이다.
![[기초통계학] 기댓값 (Expected Value) 2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728x90
반응형
'Statistics & Math > 기초통계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기초통계학] 가설검정과 P값 (p-value) (2) | 2023.12.31 |
---|---|
[기초통계학] 기하분포와 음이항분포 (0) | 2023.12.25 |
[기초통계학] 누적분포함수(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) (1) | 2023.12.17 |
[기초통계학] 확률변수 (Random Variable), 베르누이시행, 이항분포 (0) | 2023.12.16 |
[기초통계학] Gambler's Ruin(도박꾼의 파산) (1) | 2023.12.16 |